본문 바로가기
이슈

육사 홍범도 장군 동상 흉상 철거 이유 ​유해 누구 김좌진​​

by 해피냥냥이 2023. 8. 29.
반응형

육사 홍범도 장군 동상 흉상 철거 이유 ​유해 누구 김좌진

 

육사 홍범도 장군
동상 흉상 철거 이유
​유해 누구 김좌진
​​



홍범도는 평안도 평양에서 태어나 자성, 양덕을 전전하였습니다. 그동안 머슴, 건설현장 노동자, 종이공장 노동자, 사냥꾼, 광산 노동자 등 어려운 생활을 하였습니다.



1895년경부터 의병에 뛰어들어 함경남도 갑산, 함경북도 무산 등지 일대를 중심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07년 전국에서 일어난 의병에 자극을 받아 같은 해 11월 갑산에서 산포대를 조직하여 의병을 일으켰습니다.



삼수·갑사 등지에서 유격전을 펼치다가 만주로 건너가서 독립군을 양성하였습니다. 그러나 그 무렵에 부인과 이들을 모두 잃었습니다. 1910년 한일 병합 후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군 양성에 힘썼으며 1919년 간도 국민회의 대한 독립군 사령관이 되어 국내로 들어와서 일본군을 습격하였습니다.



후에 독립군의 통합 운동을 벌여 대한독립군단을 조직해 김좌진과 함께 부총재가 되었습니다. 1920년 일본군의 일본군이 봉오동을 공격해 오자 3일간의 봉오동 전투에서 120명을 사살하며 최대의 전과를 올렸고 이어서 청산리 대첩에서 김좌진의 북로군정서군과 함께 일본군을 대피하였습니다. 간도 참변과 자유시 참변을 겪은 그는 만주로 건너가기 전에 가족들이 모두 죽고 없었는지라 한반도로 돌아오지 않고 연해주에 머물렀습니다.


1922년에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국제공산당 국제대회에 국제공산당이 지휘한 원동의 식민지·혁명가로 참석했습니다. 1927년 볼셰비키당에 입당하였으나, 1937년 스탈린이 고려인과 일본인과 닮았다는 이유로 강제로 이주 당했습니다. 키질로르다로 옮겨온 그는 거기서 집단 농장을 운영하기도 했고 말년에는 고려극장의 관리인으로 일하여 여생을 보내다가 1943년 향년 76세의 나이로 타계했습니다.



이후 키질로르다의 한 공동묘지에 안장되었고 2021년 8월 15일에 대한민국으로 유해가 봉환되어 8월 18일 국립대전현충원에 다시 안장되었습니다. 한편 군은 육국사관학교 교내뿐 아니라 국방부 청사 앞에 설치된 홍범도 장군 흉상에 대해서도 필요시 이전을 검토하고 있다고 8월 28일 밝힌 상태입니다.


홍범도 장군은 누구​

댓글